한 뼘 깊이 마른 땅에
게을맞은 비가 적시려나
비닐 덥지 못한 밭골에
제 몸 쭈구려 촉 틔운 감자
싹도 밀지 못한 푸석함에
게을맞은 비는 이도저도 아니다
겨울 지난 마른 풀
젖어 싸그러야 하나
묻은 먼지만 털리 울 뿐
게을맞은 비 분위기만 힘겹다
콧잔에 살내음
게을맞은 비처럼
쭈그려도 싸그리지 못한 인연은 푸석한 숨결된다.
한 뼘 깊이 마른 땅에
게을맞은 비가 적시려나
비닐 덥지 못한 밭골에
제 몸 쭈구려 촉 틔운 감자
싹도 밀지 못한 푸석함에
게을맞은 비는 이도저도 아니다
겨울 지난 마른 풀
젖어 싸그러야 하나
묻은 먼지만 털리 울 뿐
게을맞은 비 분위기만 힘겹다
콧잔에 살내음
게을맞은 비처럼
쭈그려도 싸그리지 못한 인연은 푸석한 숨결된다.
경산시 와촌면 명마산 바위면 글귀에 관련하여 몇몇 신문과 여러 블로그에서 인용하므로 옛날 일을 더듬어 다시 생각해 볼 문제로 당시 생각과 신문기사 원문을 싣는다 |
[ 최초 기사 ] 동아일보 1982.01.17…(기사원문 인터넷에서 검색 불가능:2000년 이전 기사)경산 와촌면 강학동 명마산 해발 320미터 지점에서 발견된 선사암 각문은 경사 20도의 평평한 암반에 위에 문자가 새겨져 있어….[ 인용 『한철학-107쪽_김상일1983.8_출판:전망사』 |
위 인용 기사를 확인하고자 1988년 10월 2일(일) 현장 확인함. – 당시 소견 : 바위면에 나타나 있는 모양이 특이한 모양이나 첫째, 문자 또는 암각화라고 보기에는 형태의 연결 또는 단위의 구분이 어려우며 패여진 모양(단면) 또한 반원(나무가지를 진흙에 반쯤 찍어을 때 나오는 모양)형태로 사람이 도구를 사용해서 새겼을 때 시간에 의한 풍화현상으로 테두리가 부드러워지는 데 비해 테두리가 날카롭게 선명하여 사람의 손에 의한 새김 보다는 암석의 형성 또는 풍화 과정에서 자연발생된 듯한 느낌이 들었으며, 둘째, 비위가 놓여진 위치의 산은 약간(경사면 30도 정도) 가파른 산으로 바위의 재질이 인근한(8키로 정도) 팔공산의 흔한 화강암이 아니라 그 산(명마산)의 주된 구성 암석인 퇴적암으로 바위가 놓여진 위치에서는 암반이 흔하게 노출되지 않은 지점이라서 유독 이 바위에 가득 글귀 또는 암각화를 새겼다는 것은 선뜻 이해가 가지 않았음.추정 : 고대 문대 또는 암각화로 사람의 의한 창작물의 가능성 또한 있으며 그럴 경우 문자 또는 그림으로 고고학적 가치를 가지므로 간혹 신문지면에 오르내리게 된 것 같다. 좀더 세밀한 조사를 통해 밝혀 볼 필요가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