穀雨지난 이레인데
옷깃을 여미어도 가슴팍으로 스미는 싸늘함으로
밤늦도록 적시는 소리
헤어지고 다시 돋은 푸르름에도
가녀린 가슴앓이를 지울 수 없어
이 밤 내 숨결 끝자락마저 적시도록
봄비에 뉘이고 싶다
현대과학을 유럽의 사유 방법으로 설명하면 우주의 처음 기원이 빅뱅이고 빅뱅의 대폭팔로 무한히 팽창하여 가는 것이 우주공간이라고 설명을 한다. 이 이론의 보완적인 설명으로 수축하는 공간의 블랙홀의 설명도 결들이고 있지만, 이러한 유럽의 우주관은 근본적으로 시작과 끝을 단위로 놓고 생각하는 방법에는 예나지금이나 큰 차이 없다.
그리고 이러한 가치관은 사물을 생성할 때도 순서 있게 처음부분과 끝부분으로 나뉘어 상당히 합리성 있게 보이는 듯하다. 그래서 앞과 뒤 과 같을 수 없으며, 위와 아래가 같을 수 없으며, 왼쪽과 오른쪽이 같을 수 없다메소포타미아-그리스-유럽기독교-현대철기본적인 틀은 ‘선’과‘악’의 이분법이다. 그리고 지나 또한 ‘음’과‘양’의 이분법에서 비롯된다.
그리고 또 한가지 선과악이 음과양이 있으므로 시작에서 끝으로 진행되는 시간성을 가지고(始原)있다.
이와 다르게 한국의 사고의 근본적인 틀은 삼분법이다.
세계 어느 겨레에서 유래를 찾아보기 힘든 독특한 사고의 틀을 가지고 있다. 그럼 무엇이 삼분법이냐고 묻는다면, 아직 삼분적인 사고를 체계적으로 사상철학화를 완성한 단계는 아니지만, 사상을 엿볼수 있는 우리겨레의 언어에서 그 예를 찾아 볼 수 있다.
그 예로서, 단군조선의 역사적 사실을 신화화 과정에서 한인.한웅.한검의 삼위일체적 신관(발해시대에 로마에 영향을 주어 기독교 삼위일체 신관 정립에 기여함), 천부인 3개, 칠을 세 번 더한 수를 21일이라 하지 않고 삼칠일이라 하는 것, 무엇을 해도 세 번은 해야 한다는 등, 고구려의 삼족오(三足烏) 문양, 삼태극, 네거리보다 삼거리를 선호하며, 가장 선호하는 숫자가 3이라는 것도 단순히 우연한 일은 아니다. 이러한 ‘삼’에 대한 집착은 인근 지나(중국)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모습으로 지나의 사상적 배경과는 분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나라에는 국호(國號)가 있으며, 기업,가게에는 상호(商號)가 있다.
그리고 가정(家庭),집안에는 택호(宅號)가 있다『뱀이 여자에게 물었다. ‘하나님이 너더러 이 동산에 있는 나무열매는 하나도 따먹지 말라고 하시더냐?’ 여자가 뱀에게 대답하되 “아니다 하나님께서는 동산안에 있는 모든 나무열매를 먹을 수 있으나 죽지 않으려거든 동산 가운데 있는 나무열매 하나만 먹지도 말며 만지지도 말라하셨다. 뱀이 여자에게 이르되 너가 결코 죽지 아니하리라』( 창세기 3:1-4)
인류 최초의 갈등과 혼란이 비롯되는 모습이다
“하나도”와 “하나만”으로 상반될 수 있는 “하나”의 의미는
태초부터 현재까지 철학의 가장 중요한 문제로 있다.
예를 들어 뱀이 여자에게 ‘하나님이 동산안에 있는 나무열매 가운데 한 나무만 먹지 말라
고 하더나?’ 라고 물었다면, 여자의 대답은 ‘그래’하고 짧게 끝나버리고 더이상 뱀은 여자
에게 말 갖다 붙일 빌미가 없어 대화는 끝나버리고 여인의 갈등은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뱀은 여인에게 “하나도”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듣기에는 ‘하나(one)’로 들을 수
있지만, 동산안에 있는 모든 나무열매를 포함하는 ‘하나(many)’라는 개념이기도 하므로
여자는 이에 대하여 반론을 제기하였고, 반론은 다시 논쟁이 성립되고
여자는 이미 ‘하나도’와 ‘하나만’의 개념의 혼동에서 스스로 의문을 가지기 시작하면서
뱀의 제안에 동조하게 되면서 인류의 ‘원죄’는 시작된다.
그리고 인류는 아직 ‘하나’의 해답을 얻지 못하고 있다
인생이 너무 길다.
잊은 것은 잃어버린 걸일까
홍수주의보에
강물은
태고의 시간을 옮기고 있다.
상류에서 잊어버린 것도 잊은 것도
잛은 인생에 길지 못했던 추억처럼
하류에 닿는 길은 멀기만 하다.
모든 비롯함은 없음에서 하나로 나온다 |
그 하나를 세가지로 끝없이 나누어도 다함이 없다 |
첫째 한가지는 하늘이며, 둘째 한가지는 사람이며 셋째 한가지는 땅이라 |
하나하나가 모여 열이되나 짜여진 틀 없는 셋으로 나아가 |
하늘이 두가지로 셋 되고 , 사람이 두가지로 셋 되고, 땅이 두가지로 셋 된다. |
나아가 셋 짝은 여섯이 되고, 일곱 여덟 아홉을 낳고, |
셋과 넷을 굴리고 다섯과 일곱을 고리 이룬다 |
하나의 깊은 힘은 만번 오고 가도 그 쓰임은 변하지 않으며, |
그 마음 바탕은 해와 같이 밝으며, 사람의 가운데에 하늘과 땅이 하나됨이라 |
모든 끝은 하나되어 없음으로 돌아간다 |
中 | 本 | 衍 | 運 | 三 | 三 | 一 | 盡 | 一 |
天 | 本 | 萬 | 三 | 大 | 天 | 三 | 本 | 始 |
地 | 心 | 往 | 四 | 三 | 二 | 一 | 天 | 無 |
一 | 本 | 萬 | 成 | 合 | 三 | 積 | 一 | 始 |
一 | 太 | 來 | 環 | 六 | 地 | 十 | 一 | 一 |
終 | 陽 | 用 | 五 | 生 | 二 | 鉅 | 地 | 析 |
無 | 昻 | 變 | 七 | 七 | 三 | 無 | 一 | 三 |
終 | 明 | 不 | 一 | 八 | 人 | 櫃 | 二 | 極 |
一 | 人 | 動 | 妙 | 九 | 二 | 化 | 人 | 無 |
禁 相 爛 途 淸 心 無 之 栽 陸 轄 明 功 神 求 無 大 四 ▣
觸 雜 寒 曰 壽 氣 厚 眞 物 遷 七 暗 完 攸 子 漏 德 方 蒼선비가 무엇인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상식으로 사전을 찾아보면 아래와 같이 기술되어 있으며
일반인들이 알기로 이와 같으데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 선비 : [명사] 1. 지난날, 학식은 있으나 벼슬하지 않은 사람. 2. ‘학덕을 갖춘 이, 또는 학문을 닦는 이’를 예스럽게 이르는 말. 3. ‘어질고 순한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출처: Naver국어사전 >>
이 뿐만 아니라 심지어 현대사회에서 “선비”에 대한 감정적 반응은 그것은 옛날 답답한 시절 고루한 인생을 살다간 사람들의 모습쯤으로 알고 오히려 폄하적인 반응을 가지고 있다.
물론 이 모든 것들이 잘못되었다는 것에부터 나의 선비에 대한 생각은 시작된다
그럼 무엇이 잘못 되었다는 건가?
일반인이, 사전에, 알고 있는 것과 기록된 것이 무엇이 잘못되었는가는 차차 알아보기로 하고
이렇게 잘못된 인식의 원인은 우리의 교육에 기원된 것이라
'선비'라고 하면 우리나라의 것인 것 쯤은 다들 알고 있지만
어느 때부터 이 말이 쓰여 졌는지, 지나(중국)에서 유래 되었는지, 순수 우리겨레의 것인지
아무도 모르며, 그러기에 그 개념 더더욱 알 길 없다
먼저, 지나의 "선비 사(士)"의 개념과 우리의 선비는 그 어원의 출발부터 다름에도 불구하고
처음 우리의 선비 개념이 공자의 학문이 전래된 천여년 세월에 지나의 그것(士)과 혼용되거나
아예 지나의 士의 개념으로 둔갑한 상태이다.
선비란 지나의 士가 아니다
선비란 지난날 골방에 틀어 밖혀 책벌레가 아니다
선비란 경제력 없어 굶는 생활이 다반사인 그런 인물상이 아니다
선비란 시대를 무조건 거부하며 초야에 묻혀 지내는 학자가 아니다.
선비란 어질기만 하고 제것도 못 지키는 그런 이가 아니다
|
百露가 지나고 이틀 잠 못드는 이의 귓가에는 아직 가을이 이른데 가을엔 뀌두라미 울움 뿐이더냐 온갖 잡벌레 소리 잠들고 싶은 이의 안면방해가 심하다. 그래, 세상이 변하니 풀벌레인들 변종이 없으랴 뀌뚜라미 사촌도 있을 꺼고 뀌뚜라미 오촌도 있겠지 오늘을 사는 나 나도 변종이 되고 싶다 |